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의 필요성

 

서비스 초기 / 개발 단계에서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이 필요가 없을 수 있습니다. 

  • 직접 메뉴얼한 관리가 가능
  • 관리할 서비스 개수와 서버 개수가 적기때문에 매뉴얼한 방식으로 프로비저닝과 배포를 하면서 진행 가능.
  • 도커 명령을 직접 실행해가면서 서비스를 관리.

 

서비스가 성장하면 앱을 관리할 도구가 필요해 집니다.

  • 여러 앱을 여러개의 서버에 배포를 해야 되는데 복잡도가 높아져 매뉴얼한 관리가 불가능하여 앱을 관리할 도구가 필요해짐.  >  이때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을 활용.
  • 늘어나는 앱을 늘어나는 서버에 효율적으로 배치해 주기 위해 중간에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이 들어가짐. app을 자동으로 배포해주고 스케일링 해주고 관리해줌.
  • app구동에 필요한 스토리지, 네트워킹, 보안과 같은 서비스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이 가능해짐.

 

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도구로는 대부분 Kubernetes 사용

 

 

 

 

https://fastcampus.co.kr/dev_online_devopskit

 

DevOps 마스터 Kit with Linux, Kubernetes, Docker | 패스트캠퍼스

0부터 시작하는 DevOps의 모든 것! DevOps 엔지니어/SRE가 되기 위한 Linux 기초부터 Docker, Kubernetes의 활용과 이직을 위한 데브옵스 인터뷰 준비까지 이 강의 하나로 빠짐없이 학습해 보세요.

fastcampus.co.kr

 

'k8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Kubernetes 쿠버네티스 기능  (0) 2023.01.17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