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ubernetes 쿠버네티스 기능
자동화된 롤아웃과 롤백 지원
-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설정 변경시 배포 기능 지원, 장애 시 롤백 지원
서비스 디스커버리와 로드 밸런싱
- k8s 설계상 파드에는 모두 고유한 ip가 부여되고, 포트를 바꿔가면서 파드에 접근할 필요가 없게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.
- 파드 집합에 대한 단일 DNS명을 부여합니다.
- 기본적으로 인터널 DNS가 구성되고 그 다음에 로드밸런싱이 수행됩니다.
- 인터널 DNS가 구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DNS구성 없이 도메인 이름 기반의 서비스 접근이 가능해집니다.
시크릿과 구성 관리
- 시크릿과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안전하게 배포하고 업데이트 하는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더이상 비밀번호 하드코딩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.
- 시크릿 관리 기능을 이용해서 암호한 형태로 패스워드나 민감한 정보들을 저장 할 수 있습니다.
자동 빈 패킹 (bin packing)
- 리소스 요구 사항과 기타 제약 조건에 따라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배치 가능하다.
자가 치유
오류가 발생한 컨테이너를 재시작하고, 노드가 죽었을 때 컨테이너를 교체하기 위해 다시 스케줄하고, 사용자 정의 상태 체크에 응답하지 않는 컨테이너를 제거하며, 서비스를 제공할 준비가 될 때까지 클라이언트에 해당 컨테이너를 알리지 않습니다.
배치 실행
- 쿠버네티스는 서비스 외에도 배치(batch)와 CI 워크로드를 관리할 수 있으며, 원하는 경우 실패한 컨테이너를 교체할 수 있습니다.
Horizontal 스케일링
- 간단한 명령어나 UI를 통해서 또는 CPU 사용량에 따라 자동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스케일을 업 또는 다운합니다.
확장성을 고려하여 설계됨
- 쿠버네티스 업스트림 소스 코드 수정 없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참고
운영 수준의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
운영 수준의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
kubernetes.io
https://fastcampus.co.kr/dev_online_devopskit
DevOps 마스터 Kit with Linux, Kubernetes, Docker | 패스트캠퍼스
0부터 시작하는 DevOps의 모든 것! DevOps 엔지니어/SRE가 되기 위한 Linux 기초부터 Docker, Kubernetes의 활용과 이직을 위한 데브옵스 인터뷰 준비까지 이 강의 하나로 빠짐없이 학습해 보세요.
fastcampus.co.kr
'k8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(Container Orchestration) 필요성 (0) | 2023.01.17 |
---|